[청소년기자칼럼] 인권을 넘어 동물권으로 

 

박상현 기자                                  2020.08.29 15:30

 

동물권이라는 개념은 1970년대 후반 철학자 피터 싱어(Peter Singer)가 「동물도 지각 · 감각 능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보호받기 위한 도덕적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한 개념이다. 그의 1973년 저서 《동물 해방(Animal Liberation)》에서 「모든 생명은 소중하며, 인간 이외의 동물도 고통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생명체」라고 서술했다. 또한 2002년, 독일에서는 세계 최초로 동물권 보장에 관한 내용을 헌법에 명시하기도 하였다. 동물들은 어떻게 고통받고 있길래 이렇게 동물권 보장에 힘쓰는 것일까?

 

 

현대 사회에서 동물성 식품의 대부분은 ‘산업축산’ 시스템을 통해 생산되고 있다. 이는 육류 생산량을 최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는 집약적인 생산라인을 이용하여 동물을 사육하는 시스템으로, ‘공장식 축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당연히 이런 생산 시스템에서 생활하게 되는 동물들은 비좁고 밀폐된 환경에 갇혀 스트레스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또한 친환경적인 사료를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빨리 성장되도록 약물이 첨가된 인공 사료를 공급받는다.

 

 

문제는 극심한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떨어진 동물들이 수시로 염증성 질환을 앓게 되고 이 때문에 동물들에게 과도한 ‘항생제’가 투여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투여된 항생제는 동물들이 내성균을 갖도록 하고 내성균은 고기를 섭취한 사람들에게 전달된다. 과도한 육류 생산을 위한 인간의 욕심은 결국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결과로 나타나는 악순환을 만든다. 

 

 

인간의 욕심으로 동물들은 충분히 고통받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는 이제라도 심각성을 깨달을 때가 됐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는 것이 우선이다. 시민단체는 지속적인 시위로 사람들의 이목을 이끌고 동물권을 지키는 선두가 돼야한다. 또 정부는 실태가 어떤지 파악하여 동물 농장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움직여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는 반려동물은 귀하게 키우나 다른 동물들은 거들떠도 안 보는 분위기를 바꿔서 반려동물 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들 또한 인간과 같이 고통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인격체로서 인정하고 더욱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동물을 우리의 식탁까지 오는 음식들이라고 생각하기보다 또 하나의 생명체로 보고 동물과 조화롭게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개개인이 힘을 써 조금씩 사회를 움직여야할 것이다.